자료유형 | ||
---|---|---|
KDC 분류 | ||
KDCP 분류 | ||
발행년도 | ~ |
다국어입력기
-
⊙ 가나다순
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기타 -
⊙ 문서분류
전체 공물문서 교령 노비문서 시권 외교문서 토지문서 호적 -
⊙ 판형별
金屬活字本(금속활자본) 木活字本(목활자본) 木版本(목판본) 筆寫本(필사본) 陶活字本(도활자본) 匏活字本(포활자본) 新鉛活字本(신연활자본) 石版本(석판본) 拓本(척본) 油印本(유인본) 影印本(영인본) 寫眞版本(사진판본) -
⊙ KDCP
總類(총류) 哲學·宗敎(철학·종교) 歷史·地誌(역사·지리) 語學·文學(어학·문학) 美術·演藝(미술·연예) 社會·敎育(사회·교육) 政法·經濟(정법·경제) 理學·醫學(이학·의학) 工學·工業(공학·공업) 産業·交通(산업·교통) -
⊙ 연도별
1000년대 이전 1000 ~ 1500년대 1600년대 1700년대 1800년대 일제시대 (1919 ~ 1945) 해방이후 (1945 ~ 1999) 2000년대 이후(2000 ~) -
⊙ 한국사연표
삼국시대이전(~ 676) 통일신라시대(676 - 888) 후삼국시대(892 - 936) 고려시대(936 - 1392) 조선시대(1392 - 1897) 대한제국시대(1897 - 1919) 대한민국(1919 - 9999)
조선의 사전
21세기 디지털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참고용 정보와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는데, 조선시대에도 기록문화의 발달로 참고용 사전의 편찬과 이용이 활발하였습니다.
국가는 통치 및 백성 교화의 정치·사회적 필요가 발생할 때마다 대규모로 학자를 동원하여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방대한 분량의 백과사전을 편찬한 후 활자본 등으로 간행하여 보급했습니다. 민간에서도 과거시험 및 지식인의 지적 소양과 관련된 옛 문헌 속의 유명 문구를 일정한 원칙에 따라 정리한 백과사전인 유서(類書), 한자사전과 외교문서·공문서·편지글·시 등의 어휘사전 편찬과 간행이 유행하였습니다.
이번 전시는 전통문명국가인 조선에서 실용 사전이 광범위하게 편찬되어 이용되었음을 보여주기 위해 백과사전·한자사전·생활백과사전·특수사전 등 다양한 종류의 사전을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하였습니다.
[카테고리별 소개]
백과사전 [ 바로가기]
국가가 전문 학자를 동원해 편찬한 종합백과사전을 비롯하여, 외교관계 관련 지식 및 유교 경전 속 중요 문구와 일상생활 속 필요 정보 등을 정리해 놓은 백과사전 등이 있다.
단어사전 [ 바로가기]
사물의 이름을 주제별로 정리한 단어사전이다.
어휘 용례사전 [ 바로가기]
우리나라 관련 어휘를 한자의 중국어 운자(韻字)에 따라 찾거나 주제별로 찾아볼 수 있도록 정리한 백과사전이다.
한자사전 [ 바로가기]
한자 중국어 소리의 운별(韻別) 및 한자 부수의 획운에 따라 찾아볼 수 있도록 정리한 한자사전이다.
특수사전 [ 바로가기]
공문서나 편지를 작성하는 순서 및 다양한 사례의 형식을 수록한 특수 백과사전 등이 있다.